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계획 수립기법에 관한 연구 .1차년도

서울특별시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단체저자명서울특별시;
서울연구원;
서명/저자사항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계획 수립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편].
발행사항서울:서울특별시,2019
형태사항299 p.:천연색삽화, 도표;30 cm
ISBN9791165993092
일반주기 연구기관: 서울연구원
서지주기참고문헌: p. 291-299
비통제주제어기후변화,도시계획,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13499 S 539.7 2021-18 v1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13500 S 539.7 2021-18 v1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13499
청구기호
S 539.7 2021-18 v1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13500
청구기호
S 539.7 2021-18 v1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계획 수립기법에 관한 연구 .1차년도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표지]

제출문

연구진

목차
Ⅰ. 연구의 개요 19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9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2
Ⅱ. 서울시 기후변화 대응 도시관리 현황 27
 1. 서울시 기후변화 영향 27
  1.1. 기후환경 현황 및 전망 27
  1.2. 기후변화 영향 39
 2. 기후변화 대응 도시관리 46
  2.1. 완화 46
  2.2. 적응 55
  2.3. 관련 계획 및 법제 69
  2.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기본계획 73
Ⅲ. 기후변화 관련 도시계획 개념 및 조성사례 79
 1.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계획 트렌드 분석 79
  1.1. 도시개념의 변화 79
  1.2. 국내 미디어 분석 81
  1.3. 해외 연구동향 분석 84
 2. 기후변화 대응 도시 조성 사례 92
  2.1. 국외 92
  2.2. 국내 104
 3. 국외 대도시의 기후변화 대응을 고려한 도시계획 현황 108
  3.1. 영국 런던 108
  3.2. 미국 뉴욕 113
Ⅳ. 서울시 기후환경 공간유형 분류 및 특성 분석 121
 1. 기후환경 공간유형 검토 121
  1.1. 공간유형 분류 방법 121
  1.2. 선행연구 분석 및 공간유형(안) 122
 2. 서울시 기후환경 특성 분석 130
  2.1. 서울시 기후환경 요소 130
  2.2. 바람기능 131
  2.3. 열환경 153
  2.4. 물환경 179
  2.5. 서울시 기후환경 공간유형 설정 195
Ⅴ. 서울시 기후변화특성을 고려한 도시관리 전략 205
 1. 기후변화 대응 도시조성 전략 205
  1.1. 주요 도시개념 205
  1.2.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조성 방향 206
  1.3.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과 연계한 도시조성 전략 207
 2. 기후 특성을 고려한 공간관리 및 계획 209
  2.1. 바람기능 관리지역 209
  2.2. 열환경 관리지역 211
  2.3. 물환경 관리지역 214
  2.4. 기후환경 관리계획 218
  2.5. 기후환경정보 DB 구축 221
Ⅵ. 기후변화대응 도시계획기법 및 모의적용 대상지 선정 227
 1. 기후변화대응 도시계획기법 검토 및 인벤토리 구축 227
  1.1. 국내·외 기후변화대응 도시계획기법 검토 227
  1.2. 도시계획기법 인벤토리 작성 계획 250
 2. 모의적용 대상지 선정 256
  2.1. 방법 및 고려사항 256
  2.2. 대상지 선정 261
Ⅶ. 도시계획 기법 효과분석 및 2차년도 연계방안 273
 1. 효과분석 방법 273
  1.1. 모니터링 방법 273
  1.2. 시뮬레이션 방법 284
 2. 2차년도 연계방안 302
  2.1. 1차년도 주요 연구결과 302
  2.2. 2차년도 연계 추진계획 303
참고문헌 307

표목차
〈표 2.1〉 서울 월평균기온, 편차 및 역대 최고 순위 29
〈표 2.2〉 서울지점 일 최고기온, 최저기온 극값 순위 30
〈표 2.3〉 서울시 한파특보 발령 현황(2013년-2018년) 33
〈표 2.4〉 서울시 고속도로 시설물의 폭염 영향 40
〈표 2.5〉 서울시 풍수해 피해 총액(2009~2018년) 41
〈표 2.6〉 미세먼지 노출로 인한 조기 사망자수 추정 결과 45
〈표 2.7〉 기후변화 완화 사업 ? 부문별 추진전략 47
〈표 2.8〉 에너지자립마을 조성 현황 48
〈표 2.9〉 성대골 마을의 에너지 전환 분야 48
〈표 2.10〉 서울시 BRP 사업 추진현황(2008년~2018년) 50
〈표 2.11〉 에너지원별 미세먼지 배출량 50
〈표 2.12〉 에너지원별 온실가스 배출량 51
〈표 2.13〉 태양의 도시 주요 사업 51
〈표 2.14〉 태양광 설치 보급현황 51
〈표 2.15〉 태양광 미니발전소 보급현황 51
〈표 2.16〉 태양광 설치 보급현황 52
〈표 2.17〉 서울시 자치구별 온실가스 감축 특화사업 54
〈표 2.18〉 기후변화 적응 사업 ? 부문별 추진전략 55
〈표 2.19〉 기후변화 적응 사업 ? 중점 세부사업 56
〈표 2.20〉 무더위 쉼터 운영 현황 57
〈표 2.21〉 빗물마을 조성 현황 62
〈표 2.22〉 띠녹지 조성 실적(2012~2016) 63
〈표 2.23〉 띠녹지 조성 계획 63
〈표 2.24〉 환경부 지원 연도별 기후변화적응 선도사업 세부내역(2017~2019년) 67
〈표 2.25〉 중앙정부의 기후변화 대응형 도시계획 관련 제도 현황 69
〈표 2.26〉 서울시-기후변화대응 관련 제도 현황 71
〈표 2.27〉 환경성검토 항목 72
〈표 2.28〉 환경영향평가 항목 72
〈표 2.29〉 '생명이 살아 숨 쉬는 안심도시' 주요 내용 73
〈표 3.1〉 기후변화 관련 도시 개념 80
〈표 3.2〉 토픽별 키워드 85
〈표 3.3〉 주요 키워드(상위 20개) 88
〈표 3.4〉 공간위계별 폭염 대응형 대책 95
〈표 3.5〉 주요 계획기법 99
〈표 3.6〉 베드제드(BedZED)에 적용된 계획기법별 기능 102
〈표 3.7〉 토지이용계획별 빗물관리 목표량 설정(행복도시 6-4 생활권) 105
〈표 3.8〉 국내 LID 기술요소 105
〈표 3.9〉 LID 적용 기술 종류 106
〈표 3.10〉 국내 LID 기술요소 107
〈표 3.11〉 런던 이해관계자별 주요 기후변화 대응 전략 110
〈표 3.12〉 살기 좋은 기후-기후변화 대응 관련 주요 지표 114
〈표 3.13〉 빌딩 코드별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 115
〈표 3.14〉 지속가능한 지붕 구역(Sustainable Roofing zone) 117
〈표 4.1〉 서울시 대상 기후환경 공간유형 분류 관련 선행연구 122
〈표 4.2〉 서울시 외 기후환경 공간유형 분류 관련 선행연구 124
〈표 4.3〉 국외 기후환경 공간유형 분류 관련 선행연구 126
〈표 4.4〉 국내·외 기후환경 공간유형 종합 분석 127
〈표 4.5〉 기후환경 공간유형(안) 129
〈표 4.6〉 비오톱 유형별 지표면 거칠기 값 141
〈표 4.7〉 비오톱 유형별 바람기능성 지수 147
〈표 4.8〉 바람기능 공간유형별 면적비 150
〈표 4.9〉 바람기능 공간유형별 특성 151
〈표 4.10〉 분석대상 관측소 현황 157
〈표 4.11〉 관측소별 최근 5년(2014~2018) 연평균 일최고기온 158
〈표 4.12〉 관측소별 최근 5년(2014~2018) 연평균 일최저기온 159
〈표 4.13〉 관측소별 최근 5년(2014~2018) 연평균기온 160
〈표 4.14〉 2016~2018년 여름철(6~8월) 주간 위성영상 현황 및 활용가능성 검토 결과 165
〈표 4.15〉 위성영상 메타데이터 167
〈표 4.16〉 비오톱 69개 유형별 지표면온도 분석 결과 171
〈표 4.17〉 열환경 공간유형 분류 결과 173
〈표 4.18〉 열환경 공간유형별 평균온도 및 면적 176
〈표 4.19〉 열환경 공간유형별 특성 178
〈표 4.20〉 연강수량 종합 검토 결과 182
〈표 4.21〉 강수강도 종합 검토 결과 183
〈표 4.22〉 관측소별 최근 5년(2014~2018) 평균 연강수량 185
〈표 4.23〉 관측소별 최근 5년(2014~2018) 평균 1시간 연 최대강수량 186
〈표 4.24〉 침수면적 기준 비오톱유형도 189
〈표 4.25〉 우리나라 토지이용 분류기준에 따른 유출곡선지수와 비오톱유형 연결 190
〈표 4.26〉 물환경 유형 구분 결과 192
〈표 4.27〉 물환경 공간유형별 특성 194
〈표 4.28〉 비오톱 유형별 기후환경 특성 196
〈표 4.29〉 서울시 기후환경 공간유형 199
〈표 4.30〉 기후환경 공간유형별 공간 정보 200
〈표 4.31〉 기후환경 공간유형별 기후환경 특성 201
〈표 5.1〉 클러스터 네트워크 분석 기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연구 동향 206
〈표 5.2〉 열환경 주요 관리지역 및 특성 213
〈표 5.3〉 침수 피해원인 및 피해내용 215
〈표 5.4〉 물환경 주요 관리지역 및 특성 217
〈표 6.1〉 열환경 개선 효과가 큰 수종 229
〈표 6.2〉 기후변화 대응형 도로 포장재 232
〈표 6.3〉 바이오월(biowall)의 실내공기 정화 효과 235
〈표 6.4〉 미세먼지 저감 우수 수종(요약본) 238
〈표 6.5〉 기후환경별 계획기법 인벤토리(안) 250
〈표 6.6〉 보도 환경별 신체 표면온도 비교 254
〈표 6.7〉 서울시 도시공간유형별 열환경과 바람기능 통계치 259
〈표 6.8〉 대상지 후보군 261
〈표 6.9〉 불투수 비율이 낮은 시가화 지역 대상지 1 263
〈표 6.10〉 불투수 비율이 낮은 시가화 지역 대상지 2 263
〈표 6.11〉 불투수 비율이 낮은 시가화 지역 대상지 3 264
〈표 6.12〉 불투수 비율이 높은 저층 시가화 지역 대상지 1 266
〈표 6.13〉 불투수 비율이 높은 저층 시가화 지역 대상지 2 266
〈표 6.14〉 불투수 비율이 높은 저층 시가화 지역 대상지 3 267
〈표 6.15〉 불투수 비율이 높은 저층 시가화 지역 대상지 4 267
〈표 6.16〉 고층건물 밀집 지역 대상지 1 268
〈표 6.17〉 고층건물 밀집 지역 대상지 2 269
〈표 6.18〉 용산 일대(미군기지 반환 예정지역) 대상지 270
〈표 7.1〉 도시숲 종류별 얼굴 표면온도 비교 결과 275
〈표 7.2〉 측정 변수 283

그림목차
[그림 1.1] 과거 50년간 추세를 고려한 서울시 미래 기온 및 강수량 19
[그림 1.2] RCP 시나리오에 따른 서울시 미래 기온 및 강수량 전망 20
[그림 1.3] 서울시 시가화 지역 비율 추세 21
[그림 1.4] 주요 연구내용(1,2차 년도 종합) 22
[그림 1.5] 1차년도 연구 수행 체계도 23
[그림 2.1] 서울 연평균기온 변화 추이 및 10년 평균 27
[그림 2.2] 서울 최고기온 변화 추이 및 10년 평균 28
[그림 2.3] 서울 최저기온 변화 추이 및 10년 평균 28
[그림 2.4] 평년값 대비 2010년대 월평균기온 편차 29
[그림 2.5] 서울 폭염일수(2001~2019) 31
[그림 2.6] 서울 열대야일수(2001~2019) 31
[그림 2.7] 서울 폭염일수 전망 32
[그림 2.8] 서울 열대야일수 전망 32
[그림 2.9] 서울시 연강수량(1961~2018) 34
[그림 2.10] 서울시 월별 강수량(2008~2018평균) 34
[그림 2.11] 서울시 1시간연최대강수량(2008~2018평균) 34
[그림 2.12] 서울시 연강수량 전망 35
[그림 2.13] 월별 평균풍속 36
[그림 2.14] 월별 최대풍속 37
[그림 2.15] 월별 순간최대풍속 37
[그림 2.16] 2014~2018년 월평균풍속 평균 38
[그림 2.17] '14, '15, '17, '18년도 바람장미 38
[그림 2.18] 전국 온열질환자 및 사망자 발생 추이(2011~2018) 39
[그림 2.19] 서울 온열질환자 발생 추이(2011~2018) 39
[그림 2.20] 서울시 한랭질환 신고건수(질환자수) 40
[그림 2.21] 서울시 풍수해 피해 기록 41
[그림 2.22] 서울시 주요 대기오염물질별 농도 추이 42
[그림 2.23] 서울시 오존 기준(8시간 기준) 초과 횟수 변화(2001년~2014년) 42
[그림 2.24] 서울시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일수(2013년~2018년) 43
[그림 2.25] 월별 초미세먼지(PM 2.5) 고농도 일수(2012~2016년) 44
[그림 2.26] 서울시 자치구별 미세먼지 연평균(2013~2018년) 44
[그림 2.27] 서울시 자치구별 초미세먼지 연평균(2013~2018년) 44
[그림 2.28]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46
[그림 2.29] 에너지 부문내 세부분야별 온실가스 배출량 46
[그림 2.30] 서울시 BRP 주요 항목 49
[그림 2.31] 2017년 건물부문 지원분야 49
[그림 2.32] 2017년 주택부문 지원분야 49
[그림 2.33] 서울시 주요 재생에너지원별 특징 50
[그림 2.34] 시설종류별 설치 목표 52
[그림 2.35] 소유주체별 설치 목표 52
[그림 2.36] 태양광 랜드마크 사례 53
[그림 2.37] 서울시 무더위 쉼터 야간 운영 현황 57
[그림 2.38] 쿨링포그(광화문광장) 58
[그림 2.39] 안개분사형 그늘막(강북구) 58
[그림 2.40] 스마트 그늘막 조성 사례(광진구) 58
[그림 2.41] 하천 홍수 예·경보 시스템 구축 현황 59
[그림 2.42] 재해지도(2019 기준)에서 제공하는 침수예상도 예시 59
[그림 2.43] 빗물관리 이용시설 종류 60
[그림 2.44] 서울시 빗물이용시설 조성 현황 61
[그림 2.45] 서울시 지하수 이용 현황 61
[그림 2.46] 도봉구 창동 빗물마을 사업 조성안 62
[그림 2.47] 2022-3000 아낌없이 주는 나무심기 사업 계최 64
[그림 2.48] 그늘목 식재 현황(신촌로터리) 65
[그림 2.49] 서울형 수직정원 이미지 65
[그림 2.50] 쿨링 및 그린인프라 전략 영역 및 사업수 66
[그림 2.51]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 구성(본보고서 목차 기준) 73
[그림 2.52] 전략계획 수립을 위한 17가지 주요 미래이슈 74
[그림 2.53] 전략계획 수립방향 75
[그림 3.1] 기후변화 대응 도시계획 트렌트 분석 방법 및 적용 계획 79
[그림 3.2] 시대별 도시개념 변화 80
[그림 3.3] 분석 내용 및 과정 81
[그림 3.4] 국내 기후변화 관련 도시계획 보도 경향성 분석(보도건수 기반) 82
[그림 3.5] 연관어 검색 결과 83
[그림 3.6] 기후변화 관련 도시개념 분석 83
[그림 3.7] 분석 내용 및 과정 84
[그림 3.8] 기후변화 대응 도시개념 키워드 분석 86
[그림 3.9] 주요 키워드를 활용한 분석 방법 87
[그림 3.10] 키워드별 연결성 분석 87
[그림 3.11] 네트워크 종합 분석 88
[그림 3.12] 클러스터 1 ? 주요 기후요소 89
[그림 3.13] 클러스터 2 ? 도시계획 방향성 89
[그림 3.14] 클러스터 3 ? 계획전략 90
[그림 3.15] 클러스터 4 ? 기후 거버넌스 90
[그림 3.16] 기간별 키워드 분석 91
[그림 3.17] 곤산시의 물재난(침수 및 수질오염) 현황 92
[그림 3.18] 습지 세포 조성안 93
[그림 3.19] 바이오 필터 조성사례 93
[그림 3.20] 곤산시의 다기능 블루·그린·그레이 생태 통로 93
[그림 3.21] 공간위계별 폭염 대응형 대책 94
[그림 3.22] 칼스루에 냉기형성 지역 95
[그림 3.23] 바이어하이머 동물원 95
[그림 3.24] 폭염 대응형 계획기법 종합안 96
[그림 3.25] 수목 캐노피 밀도별 시민 이용 가이드 97
[그림 3.26] 강우 도로 조성 사업 98
[그림 3.27] 저류 도로 조성 사업 98
[그림 3.28] 저류공간 전환형 공원 사업 99
[그림 3.29] 폭우 대응형 도로 조성 계획 99
[그림 3.30] SUCCESS에서 제안하는 스폰지산과 도시숲의 이산화탄소 저감량 비교 100
[그림 3.31] 투린 스폰지 산 조성안 및 이산화탄소 포집 예상량 101
[그림 3.32] 투린 스폰지 산 구상안 101
[그림 3.33] 영국 BedZED 전경 102
[그림 3.34] 런던시에서 제공하는 Clean Air Route Finder 가동 예시 103
[그림 3.35] 대기오염물질 배출 밀집지 104
[그림 3.36] 바람길 분석 104
[그림 3.37] 바람정체지역과 공업지역 104
[그림 3.38] 해밀리 지역의 토지이용계획별 LID기법 적용 계획 105
[그림 3.39] 시범사업지역 계획안 106
[그림 3.40] 런던 도시기본계획 구성(목차 기준) 108
[그림 3.41] 런던시의 2050 Net-zero 중장기 전략 109
[그림 3.42] 런던시의 ULEZ 확대 계획 111
[그림 3.43] 런던시의 열 네트워크 우선 지역 112
[그림 3.44] 뉴욕 도시기본계획 구성 113
[그림 3.45] 뉴욕시의 주요 온실가스 배출원 115
[그림 3.46] 태양광 발전 시설 설치 사례(뉴욕) 116
[그림 3.47] 뉴욕시의 태양광 시설 설치 추이 116
[그림 3.48] 기후 회복형(Climate resilient) 도시 조성 체계 117
[그림 3.49] 열 취약성 분석에 기반한 쿨루프 조성 118
[그림 4.1] 기후환경 공간유형 분류 과정 121
[그림 4.2] 고도 10m 수평 바람 해석결과 132
[그림 4.3] 도시기후지도 예 133
[그림 4.4] 찬공기 정체 지역 133
[그림 4.5] 지표면 10m에서의 풍속분포 134
[그림 4.6] 찬공기 생성 지역 134
[그림 4.7] 2016년 3월 시간별 바람장 패턴 135
[그림 4.8] 수도권기상청 바람자료 모의 권역 136
[그림 4.9] 지표면 고도 10m 바람자료 137
[그림 4.10] 서울의 2013~2016년 계절별 평균풍속 분포 137
[그림 4.11] 지표면 거칠기 140
[그림 4.12] 비오톱 공간유형에 따른 지표면 거칠기 143
[그림 4.13] 유효 지표면 거칠기 개념 144
[그림 4.14] 서울의 유효 지표면 거칠기 144
[그림 4.15] 생활권 높이에서의 계절별 평균풍속 145
[그림 4.16] 바람기능성 지수 146
[그림 4.17] 바람기능성 지수 분포 147
[그림 4.18] 비오톱 유형별 바람기능성 지수와 그룹핑을 통한 바람기능 유형 분류 149
[그림 4.19] 바람기능 공간유형도 150
[그림 4.20] 서울시 열환경 분석 선행연구 검토 결과 154
[그림 4.21] 열환경 분석대상 관측소 현황 156
[그림 4.22] 연평균 일최고기온(2014~2018) 분포도 158
[그림 4.23] 연평균 일최저기온(2014~2018) 분포도 159
[그림 4.24] 연평균기온(2014~2018) 분포도 160
[그림 4.25] 서울시 지표면온도(17.8.26) 161
[그림 4.26] 30×30m 지표면온도 상세 161
[그림 4.27] 서울 열환경 분석 및 공간유형 도출 체계 162
[그림 4.28] 열환경분석에 활용할 위성영상 검토 과정 163
[그림 4.29] 2016~2018년 여름철(6~8월) 주간 위성영상 164
[그림 4.30]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표면온도 분석흐름도 166
[그림 4.31] 서울시 지표면온도 분석 결과 169
[그림 4.32] 서울 지표면온도 분석 결과(상세) 170
[그림 4.33] 서울시 대기온도(관측소) 및 지표면온도(위성영상) 비교(2017.8.26. AM 11) 171
[그림 4.34] 비오톱유형별 지표면온도 분포(좌) 및 열환경 공간유형 분류별 지표면온도 분포(우) 175
[그림 4.35] 열환경 공간유형도 176
[그림 4.36] 서울시 연강수량 분포도(1998~2014년 평균) 179
[그림 4.37] 서울시 강수강도 180
[그림 4.38] 행정구역별 연강수량 상세분포도(2001~2010년) 180
[그림 4.39] 서울시 1일 최대강우량 181
[그림 4.40] 서울시 연속 3일 최대강우량 181
[그림 4.41] 서울시 강수강도 181
[그림 4.42] 분석대상 관측소 분포 184
[그림 4.43] 연강수량 공간분포 결과 185
[그림 4.44] 1시간 연 최대강수량 공간분포 결과 186
[그림 4.45] 2011년 7월 27일 일강수량 분포 현황 187
[그림 4.46] 6~9시 사이 강수분포 현황 187
[그림 4.47] 2018년 8월 28일 일강수량 분포 현황 188
[그림 4.48] 20~22시 사이 강수분포 현황 188
[그림 4.49] 강수량 공간적 특성 188
[그림 4.50] 침수이력현황 189
[그림 4.51] 비오톱유형별 유출특성이 반영된 강수량 분포 191
[그림 4.52] 그룹핑을 통한 물환경유형 분류 191
[그림 4.53] 비오톱유형별 물환경 유형분포도 191
[그림 4.54] 서울시 물환경 공간유형도 193
[그림 4.55] 기후환경 공간유형 분류 과정 195
[그림 4.56] 서울시 기후환경 공간유형 종합 분석 198
[그림 4.57] 서울시 기후환경 공간유형 분포도 200
[그림 5.1] 도시개념 종합 정리 205
[그림 5.2]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계획 방향성 설정 207
[그림 5.3] 기후변화 대응 도시공간 조성 전략 208
[그림 5.4] 바람기능 주요 관리지역 210
[그림 5.5] 지표면온도 38도 이상인 지점 211
[그림 5.6] 열환경 주요 관리지역 212
[그림 5.7] 물환경 공간유형도(유출곡선지수가 높은 지역) 214
[그림 5.8] 강수량 공간적 특성 214
[그림 5.9] 침수이력 지역 215
[그림 5.10] 산사태 및 사면재해 위험지구 215
[그림 5.11] 물환경 주요 관리지역 종합도 216
[그림 5.12] 기후환경 취약지역 218
[그림 5.13] 기후환경 양호지역 219
[그림 5.14] 서울시 기후환경 관리계획 4-Ways 220
[그림 5.15] 유형별 기후환경정보의 구성 221
[그림 5.16] 기후환경정보 통합 DB화 예시 222
[그림 5.17] 기후환경정보과 도시생태현황도 통합 DB화 예시 223
[그림 6.1] 찬 공기 유입을 위한 바람통로 227
[그림 6.2] 건축과 식재계획을 통한 바람의 흐름 유도 사례 228
[그림 6.3] 공공공간 내 녹음을 위한 녹지조성 예시 229
[그림 6.4] 찬 공기 유입을 위한 바람통로(녹지와 보행로) 230
[그림 6.5] 알베도 측정장치를 이용한 차열성 포장도로 코칭 측정 232
[그림 6.6] 식물매트 233
[그림 6.7] 도로로부터 발생하는 생울타리(좌)와 실험에 사용된 식생벽(우) 235
[그림 6.8] 식재패턴 적용에 따른 식생벽에서의 미세먼지 흡착량 비교 235
[그림 6.9] 바이오 월(biowall) 작동 원리 236
[그림 6.10] 미세먼지에 대응하는 숲의 종류 237
[그림 6.11] 도시숲 녹지계획 평면도 237
[그림 6.12] 도시숲 녹지계획 입면도 238
[그림 6.13] 도시협곡과 도로에서의 오염물질 저감에 대한 식재효과 239
[그림 6.14] 수목에 의한 오염물질 저감효과 240
[그림 6.15] 계단식 배식법 241
[그림 6.16] 복합식 배식법 241
[그림 6.17] 서울시 그린커튼 설치 사례(노원구 중계동 주민센터) 242
[그림 6.18] 그린커튼의 냉각효과 242
[그림 6.19] 미세먼지 저감형 보도블록 조성 사례(대치-학여울역 구간) 243
[그림 6.20] 광촉매 보도블록의 NO 제거 효과 244
[그림 6.21] 미세먼지 필터 장착형 차량 예시(버스 및 택시 부착안) 244
[그림 6.22] 쿨링포그의 포집 원리 245
[그림 6.23] 쿨링포그 설치사례(서울시) 245
[그림 6.24] 클린로드 시스템 구성 246
[그림 6.25] 서울시 클린로드 운영 현황 246
[그림 6.26] 침투도랑 및 저류시설 사례 247
[그림 6.27] 수원시 레인가든 사례사진 248
[그림 6.28] 빗물정원 구조도 249
[그림 6.29] 청계천 복원 전후의 온도변화 249
[그림 6.30] 계획기법별 기술 인벤토리 작성 예시 251
[그림 6.31] 서울시민이 폭염 시 불편함을 느끼는 장소 252
[그림 6.32] 보행공간의 열환경 비교(식재지-보도) 253
[그림 6.33] 보행공간의 열환경 비교(수공간-보도) 253
[그림 6.34] 기능성 보도블록과 일반 보도블록 열환경 비교 254
[그림 6.35] 계획기법 패키지 : 걷고 싶은 쾌적한 거리(보도환경 개선안 예시) 255
[그림 6.36] 대상지 선정 체계 256
[그림 6.37] 대상지 선정 시 주요 고려사항 256
[그림 6.38] 중점 분석 구역 257
[그림 6.39] 서울시 도시공간유형별 열환경과 바람기능 표준편차 레이어(파란색:좋음(G)~붉은색:나쁨(B)) 산출 258
[그림 6.40] 열환경 및 바람기능 9단계 분류 259
[그림 6.41] 열환경 및 바람기능 분류 기준 260
[그림 6.42] 열환경 및 바람기능 6단계 재분류 260
[그림 6.43] 대상지 우선 검토지역(노란색 동그라미)과 후보군(검은색 동그라미) 분포도 261
[그림 6.44] 불투수 비율이 낮은 시가화 지역 분포도 262
[그림 6.45] 불투수 비율이 높은 저층 시가화 지역 265
[그림 6.46] 고층건물 밀집 지역 분포도 268
[그림 6.47] 용산 일대(미군기지 반환 예정지역) 분석도 270
[그림 7.1] 대상지의 열환경 측정 결과 273
[그림 7.2] 포장재별 일 최고온도 비교 결과(건조상태) 274
[그림 7.3] 블록포장 색상별 표면온도 비교 결과 274
[그림 7.4] 도시숲의 얼굴 표면온도 저감 효과(좌: 하층숲 가로수, 우:벽면숲 가로수) 275
[그림 7.5] 도시 형태에 따른 수목식재유형의 미세먼지 저감 효과 276
[그림 7.6] 노르웨이 지역(좌) 및 폴란드지역에 식재된 수종의 미세먼지 축적량 비교 그래프 278
[그림 7.7] 연구대상지 및 측정 장소 모식도 278
[그림 7.8] Fan et al. (2019)의 연구 대상(건물면적, 포장면적, 나대지, 수변공간, 식재지역 등 토지유형과... 279
[그림 7.9] 도로로부터 발생하는 생울타리(벽) 삽도(좌)와 실험에 사용된 식생 벽(우) 279
[그림 7.10] 식생벽에서의 미세먼지 흡착량 비교 280
[그림 7.11] 완충녹지 및 고속도로와의 거리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변화 280
[그림 7.12] 계절별 완충녹지의 평균 초미세먼지 먼지 농도 282
[그림 7.13] 시뮬레이션 모델의 프레임 워크 284
[그림 7.14] 97개 연구에서 검토된 모델별 미기후 평가 목록 285
[그림 7.15] 도시지역 식생의 효과 연구에 사용된 미기후 모델(총 123개 연구) 285
[그림 7.16] 연구에 활용된 미기후실측관측기기 286
[그림 7.17] 대상지 실측 데이터와 ENVI-met 시뮬레이션 결과값의 비교 286
[그림 7.18] 실측 데이터와 모델 결과값의 복사 요소 비교 287
[그림 7.19] 현재 피복(공원)과 가상 피복(고층빌딩)의 기온 차이 287
[그림 7.20] 연구 대상지의 도시구조와 녹지율 설정에 따른 녹화 도면 288
[그림 7.21] 녹지율 및 건물높이별 보행권레벨의 기온 감소량 289
[그림 7.22] SVF(Sky View Factor)가 높은 구역의 식재 유무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13시) 289
[그림 7.23] 수목 배열에 따른 시나리오 1의 시뮬레이션 결과 290
[그림 7.24] 수목 배열에 따른 시나리오 2의 시뮬레이션 결과 290
[그림 7.25] 옥상녹화의 수직적 유형 및 수평적 유형 291
[그림 7.26] 기후 및 도시밀도 별 옥상녹화 냉각 효과 비교 291
[그림 7.27] 가로수 위치 유형(a)과 수목 높이 유형(b) 292
[그림 7.28] 가로수 식재 유형에 따른 열 쾌적성 및 열 쾌적성 변화량 292
[그림 7.29] 보행자 높이에서 UTCI의 시간 변화 293
[그림 7.30] 도로변 가로수 조성 전후 미세먼지 저감 효과 294
[그림 7.31] 도시협곡에서의 교통배출오염물질 295
[그림 7.32] 수목에 의한 오염물질 저감효과 및 풍속 변화 295
[그림 7.33] 보행자높이(1.5m)에서의 도로 주변에서 발생한 PM₂.? 농도 변화 296
[그림 7.34] 보행자높이(1.5m)에서의 도로 주변에서 발생한 PM₂.? 농도 변화 297
[그림 7.35] Deshmukh et al., 2019의 연구 대상지와 측정장소 298
[그림 7.36] 관측 지점별 미세먼지 농도 변화 그래프 299
[그림 7.37] 관측 지점별 풍속 변화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변화 299
[그림 7.38] 엽면적밀도와 거리에 따른 오염물질 농도 변화 299
[그림 7.39] 시뮬레이션 분석 흐름도 300
[그림 7.40] 전산유체역학모델을 활용한 풍속 변화량 시뮬레이션 예시 301
[그림 7.41] 1차년도 주요 연구결과 302
[그림 7.42] 1~2차년도 연계 추진 계획 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