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서울시 혁신형 민간위탁 운영모델 구축 위한 실행방안

이준영 연구책임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개인저자이준영 이정용 
서명/저자사항서울시 혁신형 민간위탁 운영모델 구축 위한 실행방안 /이준영 연구책임 ;이정용 연구.
발행사항서울:서울연구원,2019
형태사항70 p.:삽화, 도표;26 cm
총서사항서울연;2019-PR-30
총서부출표목서울연;2019-PR-30
ISBN9791157005727
서지주기참고문헌: p. 67-68
비통제주제어서울시,민간위탁,
언어주기영어 요약 있음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13573 S 307 2013-1 v2019-30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13574 S 307 2013-1 v2019-30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13573
청구기호
S 307 2013-1 v2019-30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13574
청구기호
S 307 2013-1 v2019-30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혁신형 민간위탁 운영모델 구축 위한 실행방안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서울시 혁신형 민간위탁 운영모델 구축 위한 실행방안
목차 14
 요약 6
 01 연구개요 19
  1_연구배경과 목적 19
  2_연구내용과 방법 22
  3_서울시 민간위탁제도 현황과 쟁점사항 23
 02 서울시 민간위탁제도 개선을 위한 혁신형 민간위탁 모델 적용가능성 탐색 31
  1_모델 I: 민관협약기반 운영모델 31
  2_모델 II: 사회성과연계채권에 기초한 운영모델 42
  3_소결 46
 03 서울형 민관협약기반 민간위탁 운영모델 설계 49
  1_민관협약기반 민간위탁 운영모델의 도출배경 49
  2_민관협약기반 민간위탁 운영모델 제도설계의 기본 방향 및 운영원리 55
  3_민관협약기반 민간위탁 운영모델 설계 59
 04 서울형 민관협약기반 운영모델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제언 75
  1_민관협약기반 운영모델 시범사업을 위한 주요 참여자의 역할 75
  2_시범사업을 위한 실질적 제도개선안 마련 절차 80
 참고문헌 84
 Abstract 86
 표 목차 15
  [표 1-1] 서울협치협의회 민간위탁제 정책개선 권고안 21
  [표 1-2] 연구방법에 따른 논의내용 23
  [표 1-3] 서울시 민간위탁 유형구분 24
  [표 1-4] 서울시 민간위탁 현황 (2019년 9월 기준) 25
  [표 1-5] 서울시 민간위탁 추진절차 26
  [표 2-1] 민간위탁과 민관협약의 차이 33
  [표 2-2] 서울시 혁신형 중간지원조직 기본업무 37
  [표 2-3] 서울시 민간위탁 유형별 종합성과평가 지표차이 40
  [표 3-1] 서울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사업 내용 52
  [표 3-2] 민관위탁제도와 민관협약 민간위탁제도 비교 58
  [표 3-3] 민관협약기반 민간위탁모델의 대상사무 및 조건 60
  [표 3-4] 서울시 사회혁신영역 중간지원조직 60
  [표 3-5] 민관협약 민간위탁모델 위탁대상 관련 조례개정안 61
  [표 3-6] 민간위탁 유형 구분 개선안(서울시 민간위탁 관리지침 개선) 62
  [표 3-7] 서울시 민간위탁 사전조사 및 적정성 검토 64
  [표 3-8] 서울시 민간위탁 사전조사 및 적정성 검토 65
  [표 3-9] 민간위탁 선정 방식의 차이점 66
  [표 3-10] 서울시 민간위탁 수탁기관 선정 66
  [표 3-11] 서울시 민간위탁 위수탁협약서 내용 67
  [표 3-12] 민관협약 민간위탁모델 표준협약서에 포함 검토목록 67
  [표 3-13] 민관협약 민간위탁모델의 성과 인센티브 방안 69
  [표 3-14] 일본 지정관리자제도의 리스크 분담 규정 사례 70
  [표 3-15] 서울시 민간위탁 추진계획 수립 70
  [표 3-16] 서울시 민간위탁 사전조사 및 적정성 검토 72
  [표 4-1] 서울시의 역할과 자세 77
  [표 4-2] 영국 민간위탁제 수탁기관의 윤리기준 확보방안 사례 78
  [표 4-3] 시민사회의 역할 및 자세 79
  [표 4-4] 사회적경제 관련 시범사업 시 성과목표와 평가지표 예시 82
  [표 4-5] 민관협약기반 민간위탁모델의 성과 인센티브 방안 83
 그림 목차 17
  [그림 2-1] 서울시협치협의회의 사회성과연계채권에 기초한 민간위탁 모델 43
  [그림 3-1] 사회적가치사무 중간지원조직과 민간위탁제도 54
  [그림 3-2] 민관협약기반 민간위탁 운영모델의 운영원칙 57
  [그림 3-3] 민관협약 민간위탁 운영모델의 위탁절차 63
  [그림 4-1] 민관협약 민간위탁 모델 도입을 위한 선제조건 79
  [그림 4-2] 민관협약 민간위탁 시범사업추진을 위한 민관협의 테이블 구성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