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서울의 자치구 도시발전기본계획 운영실태와 개편방향

양재섭 연구책임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개인저자양재섭 반영권 
서명/저자사항서울의 자치구 도시발전기본계획 운영실태와 개편방향 /양재섭 연구책임 ;반영권 연구.
발행사항서울:서울연구원,2021
형태사항124 p.:삽화, 도표;26 cm
총서사항서울연;2020-PR-30
총서부출표목서울연;2020-PR-30
ISBN9791157005994
일반주기 권말부록 수록
서지주기참고문헌: p. 111-113
비통제주제어서울,자치구,도시발전,
언어주기영어 요약 있음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14104 S 307 2013-1 v2020-30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14105 S 307 2013-1 v2020-30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14104
청구기호
S 307 2013-1 v2020-30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14105
청구기호
S 307 2013-1 v2020-30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의 자치구 도시발전기본계획 운영실태와 개편방향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서울의 자치구 도시발전기본계획 운영실태와 개편방향
목차 16
 요약 6
 01 연구개요 23
  1_연구배경과 목적 23
  2_연구내용과 방법 24
 02 자치구 도시계획고권과 서울의 도시계획 운영 경험 29
  1_자치구 도시계획고권과 서울시 도시계획체계 29
  2_1990년대 자치구 도시기본계획의 수립 경험과 교훈 34
  3_서울시 생활권계획의 수립·운영 경험과 과제 38
 03 현행 자치구 도시발전기본계획의 운영실태와 개선과제 45
  1_자치구 도시발전계획의 수립현황 45
  2_자치구 도시발전계획의 운영실태 48
  3_자치구 도시발전계획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63
 04 도쿄·런던의 자치구 도시기본계획 운영사례와 시사점 73
  1_도쿄: 특별구 도시계획 마스터플랜 73
  2_런던: 자치구 기본계획 95
 05 자치구 도시발전기본계획의 개편방향 119
  1_자치구 도시기본계획 도입의 필요성 119
  2_자치구 도시발전계획의 개편방향 121
  3_제도개선 및 후속 추진과제 127
 참고문헌 132
 부록 135
 Abstract 143
 표 목차 18
  [표 2-1] 1990년대 자치구 도시기본계획 수립의 의의와 한계 37
  [표 3-1] 2000년 이후 25개 자치구 도시발전기본계획 수립현황 46
  [표 3-2] 자치구 도시발전기본계획 담담 조직 현황 47
  [표 3-3] 10개 자치구 도시발전기본계획 수립 현황 48
  [표 3-4] 자치구 도시발전기본계획의 수립기간 및 예산 50
  [표 3-5] 자치구 도시발전기본계획의 주민참여 방식 51
  [표 3-6] 2030 강동구 장기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주민의견 수렴방식 52
  [표 3-7] 자치구 도시발전기본계획의 관련 부서 참여방식 53
  [표 3-8] 「2040 서대문구 도시발전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획단 운영 개요 54
  [표 3-9] 자치구 도시발전기본계획 수립과정에서 구의회 및 서울시 참여 여부 54
  [표 3-10] 서울시 관련부서 협의 사례 55
  [표 3-11] 자치구 도시발전기본계획의 계획 유형 56
  [표 3-12] 자치구 도시발전기본계획의 내용적 범위와 성격 59
  [표 3-13] 지역생활권계획과 자치구 도시발전기본계획의 주요 내용 비교 66
  [표 3-14] 자치구 도시발전기본계획의 명칭, 수립방식 및 절차 등의 문제점 67
  [표 4-1] 23개 특별구 도시계획 마스터플랜 수립현황 80
  [표 4-2] 도쿄도 10개 특별구의 도시계획 마스터플랜 구성체계 83
  [표 4-3] 스미다구 도시계획 마스터플랜 검토위원회 회의 일정과 주요 내용 85
  [표 4-4] 스미다구 도시계획 마스터플랜 구민워크숍 주요 내용 86
  [표 4-5] 스미다구 도시계획 마스터플랜의 구성과 주요내용 87
  [표 4-6] 스미다구 토지이용 구분 89
  [표 4-7] 스미다구 부문별 계획 중 주택 관련 내용 90
  [표 4-8] 스미다구 지역구분 현황 90
  [표 4-9] 스미다구 지역별 구상의 내용 구성 91
  [표 4-10] 스미다구 도시계획 마스터플랜 중 추진프로젝트 내용과 위치 92
  [표 4-11] 런던의 계획체계와 관계 99
  [표 4-12] 32개 자치구 기본계획 수립현황 103
  [표 4-13] 자치구 기본계획의 구성 예시 104
  [표 4-14] 중심지 위계와 기능?역할 111
  [표 4-15] 핵심모니터링 체계 예시 114
  [표 5-1] 서울시 도시계획조례 개정안 예시 122
 그림 목차 20
  [그림 1-1] 연구목적 24
  [그림 1-2] 연구내용의 구성 25
  [그림 1-3] 10개 자치구 구정연구단과 워크숍 26
  [그림 1-4] 연구방법 27
  [그림 2-1] 자치구의 도시계획 입안·결정·참여(협의)권 31
  [그림 2-2] 자치구 도시계획 분권화에 대한 논점 32
  [그림 2-3] 서울시 도시계획 체계 33
  [그림 2-4] 1990년대 자치구 도시기본계획 수립과정 35
  [그림 2-5] 자치구 도시기본계획 계획도면 예시 36
  [그림 2-6] 지역생활권계획의 발전구상: 금천구 독산지역생활권 예시 40
  [그림 2-7] 지역생활권계획의 공간관리지침: 금천구 독산 지역생활권 예시 41
  [그림 2-8] 서울시 생활권계획의 의의와 한계 43
  [그림 3-1] 2000년 이후 25개 자치구 도시발전기본계획 수립현황 45
  [그림 3-2] 자치구별 도시발전기본계획 명칭(예) 49
  [그림 3-3] 「2040 금천구 도시종합관리계획」 구민계획단 운영 52
  [그림 3-4] 전략계획형 수립사례 56
  [그림 3-5] 부문별계획형 수립 사례 57
  [그림 3-6] 생활권계획 없이 중점전략사업 포함 예시 58
  [그림 3-7] 도시공간 중심과 구정 전 분야 포괄 예시 59
  [그림 3-8] ‘2040 노원플랜’ 계획 체계 60
  [그림 3-9] 자치구 도시발전기본계획 운영실태 종합 62
  [그림 3-10] 지역생활권계획과 도시발전기본계획의 역할 및 내용 중복 65
  [그림 4-1] 도쿄도의 도시계획 체계 74
  [그림 4-2] 다이토구 도시계획 마스터플랜과 관련계획 관계도 78
  [그림 4-3] 23구의 도시계획 마스터플랜 수립현황 79
  [그림 4-4] 특별구 도시계획 마스터플랜의 구성체계와 내용 81
  [그림 4-5] 스미다구의 위치 84
  [그림 4-6] 스미다구 기본구상(2005), 기본계획(2016), 도시계획 마스터플랜(2019) 84
  [그림 4-7] 스미다구 장래 도시구조도 88
  [그림 4-8] 스미다구 토지이용방침도 88
  [그림 4-9] 제2지역 마을만들기 추진방침 91
  [그림 4-10] 2004년 이후 영국 계획체계의 변화 95
  [그림 4-11] 자치구 기본계획(좌)과 근린계획(우) 예시 97
  [그림 4-12] 자치구 도시기본계획 입안 및 결정 과정 100
  [그림 4-13] 런던 32개 자치구의 기본계획 수립현황 102
  [그림 4-14] 해머스미스앤풀햄: 4개 전략적 재생지역 105
  [그림 4-15] 런던 내 타워햄릿 자치구의 위치 106
  [그림 4-16] 타워햄릿 자치구 기본계획의 위상 107
  [그림 4-17] 타워햄릿 자치구 기본계획의 핵심 다이어그램 109
  [그림 4-18] 타워햄릿 자치구 기본계획의 중심지 체계 111
  [그림 4-19] 4개의 지역 구분과 개발부지 할당 112
  [그림 4-20] 제1지역 종합발전도 113
  [그림 4-21] 1지역 내 Whitechaple 부지의 개요와 계획도면 113
  [그림 4-22] 기초보고서(2015), 지역참여 보고서(2017), 협조의 의무 보고서(2018) 115
  [그림 5-1] 서울시 도시계획체계 재편방향 121
  [그림 5-2] 지역생활권계획과 자치구 도시기본계획의 통합관리에 관한 전문가 의견 124
  [그림 5-3] 자치구 기본계획의 구성 및 내용(예시)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