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서울시교육청 지식재산 기반 강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전성태 책임연구

상세정보
자료유형학술용역보고서
개인저자전성태 
서명/저자사항서울시교육청 지식재산 기반 강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전성태 책임연구.
발행사항서울:서울특별시의회 사무처,2021
형태사항viii, 124 p. :천연색삽화 ;30 cm
총서사항(서울특별시의회) 연구용역 최종보고서;2021-[22]
총서부출표목(서울특별시의회) 연구용역 최종보고서;2021-[22]
ISBN9791165994334
일반주기 권말부록: 서울시 지식재산 교육 인프라 현황
임의권차부여
서지주기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지적 재산권,발명 교육,제도 개선,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16707 S 359.009116 2014-1 v2021-22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16708 S 359.009116 2014-1 v2021-22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16707
청구기호
S 359.009116 2014-1 v2021-2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16708
청구기호
S 359.009116 2014-1 v2021-22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교육청 지식재산 기반 강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표지

요약문

목 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7
2. 연구의 목표 22

Ⅱ. 지식재산 교육에 대한 이론적 검토
1. 지식재산 25
 가. 개념 및 특성 25
 나. 종류 26
  1) 산업재산권 제도 26
   가) 특허 및 실용신안 제도 26
   나) 상표 및 부정경쟁방지 제도 27
   다) 디자인보호 제도 28
  2) 저작권 제도 28
2. 지식재산 교육 28
3. 지식재산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 31

Ⅲ. 우리나라 지식재산 정책 현황 및 국내외 지식재산 교육 추진사례 분석
1.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지식재산 및 지식재산 교육 추진체계 분석 43
 가. 중앙정부 43
  1) 특허청 43
   가) 정책 43
   나) 관련 법령 45
   다) 예산 45
  2) 문화체육관광부 45
   가) 정책 45
   나) 관련 법령 46
   다) 예산 46
 나. 지방자치단체 46
  1) 서울특별시 46
   가) 정책 46
   나) 관련 법령 47
   다) 예산 48
  2) 경기도 48
   가) 정책 48
   나) 관련 법령 49
   다) 예산 49
  3) 전라남도 49
   가) 정책 49
   나) 관련 법령 50
   다) 예산 50
2. 국내외 지식재산 교육 추진 사례 분석 51
 가. 서설 51
 나. 주요국의 초?중등교육의 지식재산교육과정 및 사례 분석 53
  1) 미국 53
   가) 미국의 K-12 기술교육의 기술적 소양을 위한 표준 (STL, ITEA, 2000)에서 발명교육 54
   나) The STEMIE Coalition (STEMIE 연합)에 의한 발명?지식재산교육 57
   다) 레멜슨 재단(Lemelson Foundation)과 발명교육 프레임워크(Framework) 개발?적용한 발명?지식재산교육 59
  2) 일본 64
   가) 서설 64
   나) 지재창조 교육 추진 65
   다) 일본의 지재창조교육 추진체계 67
   라) 지재창조 교육의 성과 68
    (1) 지재창조 교육의 체계화 54
    (2) 교재 등 수집?제공 69
    (3) 지역 컨소시엄 구축 70
  3) 중국 72
   가) 중국의 지식재산권 교육 정책 72
   나) 초?중등학교 중국의 지식재산권 교육 현황과 사례 73
  4) 유럽(영국) 74
   가) 디자인과 기술(Design and Technology)교과에서의 발명?지식재산교육 74
   나) 영국의 특허청(Intellectual Property Office)에 의한 발명?지식재산교육 76
    (1) The Design & Technology with ICT Education Show 76
    (2) Design & Technology Education Programme(DTEP) 77
    (3) STEMNET(Science, Engineering, Technology and Mathematics Network) 77
3. 한국의 초?중등교육의 지식재산교육과정 및 사례 분석 77
 가.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발명?지식재산교육 현황 77
 나. 고교 진로선택 교과목의 ‘지식재산일반’ 운영 현황 78
 다. 예산 지원 현황 80
 라. 지역별 도입현황 81
 마.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발명교육 지원과 발명?지식재산교육 문화 확산을 위한 교육 활동 83
4. 비교 및 시사점 84

Ⅳ. 지식재산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1. 서설 89
2. 지식재산 교육 인식조사 개요 89
 가. 집단심층면접 조사설계 및 분석방법 89
 나. 조사그룹 대상자 및 조사일정 90
 다. 질문지 구성 90
3. 지식재산 인식조사 결과 91
 가. 지식재산교육 현황 91
 나.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지식재산교육의 홍보 92
 다. 지식재산교육을 법정의무교육에 포함되도록 법개정이 필요 92
 라. 교육커리큘럼의 다양화 및 교육KIT의 제공 93
 마. 지식재산일반의 표시과목 추가 93
 바. 교육 주체 간 협력체계 마련 93
 사. 전문교과에 지식재산 관련 과목 개설 94

Ⅴ. 지식재산강국 구현을 위한 서울시 교육의 발전 방안
1. 서설 97
2. 서울시 지식재산 교육 관련 인프라 현황 97
 가. 초중등 지식재산 관련 교육기관 97
  1) 21개 발명교육센터 보유 97
  2) 4개의 발명교육 특성화 학교 98
  3) 지식재산 일반교과 선도학교 지정?운영 현황(’21년 기준, 전체 28개교) 99
 나. 다양한 지식재산 관련 유관기관 보유 99
 다. 서울시와 협업이 가능한 지식재산 관련 기관 100
 라. 주요 지식재산 전문대학원 및 전문학위과정을 갖춘 대학 보유 100
 마. 법제도적 인프라 100
3. 서울시 지식재산 교육 및 법제도적 발전방안 101
 가. 서울시 차원의 지식재산 교육 강화 방안 101
  1) 지식재산 교육 컨소시움 구축 101
  2) 지식재산 교육?발명 교사 네트워크 구축지원 102
  3) 교사 등 교원을 위한 강습 세미나 등의 정기적인 개최 102
 나. 서울시 지식재산 교육 조례 개정방안 102
 다. 교육부 등과의 협의를 통한 지식재산 교육 강화 방안 103
  1) 교재(프로그램)의 체계화 103
  2) 체험형 교육의 확대 등 교육의 다변화 103
  3) 교원 연수확대를 통한 교원확보 및 전문성 제고 103
  4) 교원의 자격제도 정비 104

Ⅵ. 결론

<참고문헌>

<부록> 서울시 지식재산 교육 인프라 현황
1. 서울시 지식재산 인프라 115
 가. 서울시에 소재한 지식재산 관련 기관 115
  1) 한국발명진흥회 115
  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16
  3) 윕스(WIPS) IP 교육센터 121
  4) 한국저작권보호원 122
  5) 한국지식재산보호원 123
  6)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23
  7) 한국특허전략개발원 123
  8) 서울산업진흥원/서울지식재산센터 123
 나. 서울시와 협업이 가능한 지식재산 관련 기관 124
  1) 한국저작권위원회 124
   가) 오프라인 교육과정 125
   나) 온라인 교육과정 126
  2) 국제지식재산연수원 127
   가) 학생 교육 127
   나) 교원 교육 128
   다) 이러닝 교육 128
   라) 청소년 과정 129
   마) 발명교원 과정 130
 다. 서울소재 주요 지식재산 전문대학원 학위과정 130
  1) 고려대학교 지식재산 학위과정 131
  2) 홍익대학교 지식재산 학위과정 133
 라. 발명?특허 특성화고등학교 134
 마. IP 마이스터 프로그램 활용 135
 바. 교육부 인가 종합교육연수원 활용 136
 사. 발명교사교육센터 활용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