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의 성과와 지속운영방안 .2020

구아영 연구책임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개인저자구아영 
서명/저자사항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의 성과와 지속운영방안.구아영 연구책임.
발행사항서울: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2021
형태사항iv, 122 p. :삽화, 도표 ;26 cm
총서사항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2021-03-001
총서부출표목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2021-03-001
부분표제판권기표제:2020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의 성과와 지속운영방안
일반주기 권말부록: 1. 연차별 설문조사결과 ; 2. 설문조사지
서지주기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지역 공동체,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19736 S 359.01 2022-6 v2020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19737 S 359.01 2022-6 v2020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19736
청구기호
S 359.01 2022-6 v2020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19737
청구기호
S 359.01 2022-6 v2020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의 성과와 지속운영방안 .2020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2020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의 성과와 지속운영방안

연구책임

목차

01. 연구개요
1. 연구배경과 목적 11
2. 연구대상과 범위 13
3. 연구방법과 내용 16

02.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추진 경과
1.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의 추진 배경 25
2. 동 단위 주민 참여사업의 플랫폼 필요성 인식 27
3.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논의 29
4.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의 현재 34

03.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성과분석
1. 사업기반 조성 39
2. 주민참여 활성화 43
3. 주민자치회 활동 51
4. 자치계획 수립 58
5. 사회적 자본 형성과 민관협력 성숙 65
6. 코로나19 상황의 주민자치회 활동 74

04. 지속가능한 주민자치회 운영과 현자의 변화
1. 지속가능한 주민자치회 운영을 위해 필요한 지원 81
2. 청년 참여 현황과 사례 83
3. 자치회 사무국 운영 사례 87
4.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장기 비전 마련 92

05. 결론 및 제언
1.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의 성과 확인 97
2. 주민자치회 안착을 위한 운영조직 안정화 필요 100
3. 주민자치회 운영 프로세스 유연호 방안 마련 103
4. 지속적이 주민참여 확대와 민관협력 강화 106
5. 연구의 한계와 과제 107

참고문헌

부록 1. 연차별 설문조사결과

부록 2. 설문조사지

표목차
[표 1-1]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시행동 13
[표 1-2] 2020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성과지표 17
[표 1-3] 주민자치회 서면 모니터링 세부내용 19
[표 1-4] 주민자치회 구성 현황 세부내용 19
[표 1-5] 주민자치회 사업추진 현황 세부내용 20
[표 1-6] 설문 조사 참여자 연령대별 성별 21
[표 1-7] 설문 조사 문항 구성 21
[표 1-8] 참여주민 소속 주민자치회 22
[표 2-1] 행정자치부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연도별 주요 추진 내용 25
[표 2-2] 주민조직 특성 비교 28
[표 2-3]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추진의 논의 경과 29
[표 2-4] 주민자치위원회 운영한계 및 극복방안 30
[표 2-5] 주민자치위원회와 서울형 주민자치회 비교 33
[표 2-6]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추진 경과 34
[표 2-7]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주요 성과 35
[표 2-8]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개선계획 36
[표 3-1] 조례 제.개정 자치구 현황 39
[표 3-2] 자치구별 공무원 역량 강화 추진결과 40
[표 3-3] 자치구별 민관 회의체계 현황 42
[표 3-4] 주민자치회 공개모집 결과 43
[표 3-5] 연령대별 서울형 주민자치회 인지 경로 44
[표 3-6] 참여주민 모집 결과〈구성 초기 기준) 45
[표 3-7] 위원/분과위원의 성별,연령대 비율(구성 초기 기준) 46
[표 3-8] 주민자치학교 이수을(구성 초기 기준) 47
[표 3-9] 주민자치회 임원의 개인/단체,성별,연령대,3년간 활동 경험 48
[표 3-10] 연차별 1단계 자치구 위원의 성별,연령대 비율 비교 49
[표 3-11] 1단계 자치구 연임 비율 49
[표 3-12] 주민 공론장 운영 결과 51
[표 3-13] 참여경험별 ‘주민 누구나 자기 의견을 편하게 말할 수 있음’ 응답결과 53
[표 3-14] 자치구별 ‘중요한 결정을 관이 아닌 주민이 주도’ 응답 결과 54
[표 3-15] 단계별 주민자치회 위원 활동 만족도 55
[표 3-16] 2020년 의제 주제분류표 58
[표 3-17] 2020년 자치계획 의제 분석 59
[표 3-18] 2020년 자치계획 의제 분석 (소분류) 59
[표 3-19] 대주제별 의제 추진방식 60
[표 3-20] 2020년 실행의제 이월 및 포기 결과 61
[표 3-21] 연령/참여연도에 따른 주민 상호 신뢰도 응답 결과 66
[표 3-22] 참여연도별 동네에서 서로 인사하며 지내는 이웃의 수 67
[표 3-23] 참여연도별 어려움에 처했을 때 동네에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이웃의 수 67
[표 3-24] 단계별 ‘자발적으로 참여한 주민으로 구성’ 응답 결과 (2019/2020비교) 68
[표 3-25]  일상생활 불편 문제 발생 시 해결방법 (기초선/사후 설문 비교) 69
[표 3-26] 진행단계별 주민자치회 활동으로 동네에관한 관심이 생김 응답 결과 70
[표 3-27]  진행단계별 주민자치회 활동으로 사회적가치에 관한    관심 높아짐응답 결과 71
[표 3-28] 참여연도별 우리 동네에 계속 살고 싶음 응답 결과 72
[표 3-29] 진행단계별 동주민센터와 주민들의 협력수준 응답 결과 73
[표 3-30] 2020년 회의 횟수 75
[표 3-31] 진행단계별 비대면(온라인) 방식 참여 회의 76
[표 3-32] 참여경험별 비대면(온라인) 방식을 통한 주민과의 소통 가능성 응답 결과 77
[표 3-33] 비대면 회의 경험별 비대면(온라인) 방식 소통을 위한 필요 사항 78
[표 4-1] 30대 이하 위원 수 83
[표 4-2] 30대 위원 6명 이상 행정동 83
[표 4-3] 주민자치회 조직역량 강화 시범사업 추진결과 88
[표 4-4] 쌍문1동 임무별 책임자 90
[표 4-5] 자치구 연구 추진 현황그림 목차 93

그림목차
[그림 1-1]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단계별 추진 경 15
[그림 1-2] 2020 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의 성과와 지속운영방안 연구체계 16
[그림 2-2] 서울형 주민자치회 단계별 시행동 현황 34
[그림 3-1] 서울형 주민자치회 인지 경로 43
[그림 3-2] 동에서의 주민자치회 홍보 효과성 45
[그림 3-3] 주민자치회 위원 대상 적절한 교육 제공 47
[그림 3-4] 주민 누구나 자기 의견을 편하게 말할 수 있음 52
[그림 3-5] 중요한 결정을 관이 아닌 주민이 주도 54
[그림 3-6] 주민자치회 위원 활동 만족도 55
[그림 3-7] 자치계획에 대한 충분한 논의와 고민이 이루어짐 63
[그림 3-8] 자치계획의 혜택은 주민 대다수에게 돌아갈 것 64
[그림 3-9] 주민총회는 지역 주민의 합의형성에 도움이 됨 64
[그림 3-10] 주민 상호 신뢰도 응답 결과 65
[그림 3-11] 동네에서 서로 인사하며 지내는 이웃의 수 (2019, 2020 결과 비교) 66
[그림 3-12] 어려움에 처했을 때 동네에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이웃의 수 67
[그림 3-13] 자발적으로 참여한 주민으로 구성 68
[그림 3-14] 주민자치회를 통해 실질적인 주민자치가 이뤄질 것으로기대함 69
[그림 3-15] 주민자치회 활동으로 동네에 대한 관심이 생김 70
[그림 3-16] 주민자치회 활동으로 사회적 가치에 관한 관심 높아짐 71
[그림 3-17] 우리 동네에 계속 살고 싶음 72
[그림 3-18] 우리 동에서는 동주민센터와 주민이 서로를 신뢰하는 편임 73
[그림 3-19] 동주민센터와 주민들의 협력 수준 73
[그림 3-20] 비대면(온라인)방식 참여 회의 76
[그림 3-21] 비대면(온라인)방식 회의 참여 만족도 76
[그림 3-22] 비대면(온라인)방식을 통한 주민과의 소통 가능성 77
[그림 3-23] 비대면(온라인)방식 소통을 위한 필요 사항 77
[그림 4-1] 지속적인 주민자치회 활동을 위한 필요 사항 81
[그림 4-2] 지속적인 주민자치회 활동을 위한 필요 사항 82
[그림 4-3] 주민자치회 조직역량 강화 시범사업 추진동별 사무국 구조 89
[그림 4-4] 쌍문1동 사무국 구조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