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종합성과보고서 .2012~2020

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기획홍보팀 기획

상세정보
자료유형서울시 간행물
단체저자명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기획홍보팀;
서명/저자사항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종합성과보고서.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기획홍보팀 기획.
발행사항서울: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2021
형태사항255 p. :천연색삽화, 도표 ;23 cm
일반주기 권말부록 수록
비통제주제어마을 공동체,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19758 S 331.47 2022-6 v2012-2020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19759 S 331.47 2022-6 v2012-2020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19758
청구기호
S 331.47 2022-6 v2012-2020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19759
청구기호
S 331.47 2022-6 v2012-2020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종합성과보고서 .2012~2020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종합성과보고서(2012-2020)

목차

인사말

들어가는말

Part1 사회적 자본축적
1-1 마을을 이루는 근간, 주민들이 모이다 (주민제안 공모사업) 27
1-2 마을에 불어넣은 젊음과 전문성 (대학과 지역사회 연계) 33
1-3 부모, 교사, 동네 사람들이 함께 만든 마을 교육 공동체 (마을과 학교 연계) 37
1-4 마을이 함께 돕는 동네 청년의 자립(마을일자리) 41

Part2 마을문제해결 모델 개발
2-1 시민들의 집단지성 본격적으로 활용하기 (동단위 모임연계활동) 49
2-2 마을공동체가 모이는 광장에 지붕을 얹다 (공동체 공간) 53
2-3 동네에서 발굴하고 양성한 마을 활동 전문가 (마을 활동가 양성) 63
2-4 시도와 실패가 성공을 만든다 (마을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 77
 2-4-1 마을기업(2012-2015) 77
 2-4-2 우리동네 행복한 골목만들기 (2016-2017) 81
 2-4-3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마을모금활동지원사업(2016-2018) 83
2-5 평범한 주민들의 특별한 사업 (로컬랩, 동네발전소) 87

Part3 주민주권의 현실화
3-1 민민-민관 협력기반의 자치구 마을생태계 조성 103
3-2 시민을 위한 행정체계 통역가 (정책지원가 양성) 107
3-3 마을공동체 민관 거버넌스의 공식선언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마을계획) 117
3-4 주민참여에서 자치로(서울형 주민자치회 시범사업) 121
3-5 지방자치분권의 시작점, 시민참여의 제도화 127
3-6 서울을 넘어 기본법제로, 보편 정책으로 131

Part4 서울마을센터의 DNA
4-1 공감하는 존재, 몰입하는 즐거움(조직문화) 143
4-2 혁신과 변화의 추구(기관운영) 149
4-3 연결의 힘(민관협력-민민협력) 159
4-4 함께 자라기(교육) 163
4-5 더 많은 시민들과 함께(홍보) 167
4-6 학문적 토대를 쌓다(연구) 173

나가는 말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