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서울시 일제 잔존유산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실태조사

서울특별시 문화본부 문화재정책과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학술용역보고서
단체저자명서울특별시.문화본부.문화재정책과;
서명/저자사항서울시 일제 잔존유산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실태조사 /서울특별시 문화본부 문화재정책과 [편].
발행사항서울:문화본부,2022
형태사항339 p. :삽화;30 cm
ISBN9791165997700
서지주기참고문헌 수록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20761 S 911.6 2023-7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2 SG0000120762 S 911.6 2023-7 c2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신청하기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20761
청구기호
S 911.6 2023-7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보존서고3/시정간행물서가(서울실) 신청후 열람가능(대출불가)

No.
2
등록번호
SG0000120762
청구기호
S 911.6 2023-7 c2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하기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일제 잔존유산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실태조사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서울시 일제 잔존유산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실태조사

목차

Ⅰ. 과업의 개요
1. 과업의 개요 8
 1) 과업의 배경 및 목적 8
 2) 과업의 기간 8
 3) 과업의 범위와 내용 8
2. 과업의 프로세스 8

Ⅱ. 식민유산의 정의와 유형 분류 및 중장기 조사 방안
1. 식민유산의 정의와 시기 10
 1) 식민유산의 정의 10
 2) 생성, 변용, 파괴의 개념 12
 3) 식민유산과 이후의 식민지 역사의 파편에 대한 문제 12
 4) 식민권력에 대한 정의의 필요성 14
2. 식민유산의 유형 분류 18
 1) 식민유산, 건조물, 유적의 유형 분류(안) 20
 2) 유물(기록유산 포함)의 유형 분류(안) 21
 3) 무형유산의 유형 분류(안) 22
3. 식민유산 아카이브 구축 23
4. 식민유산 조사 중장기 로드맵(제언) 26

Ⅲ. 서울시 소재 식민유산 조사리스트
1. 식민유산 조사의 전제 29
2. 지정(등록)문화재의 식민유산 조사표 50
3. 서울미래유산의 식민유산 조사표 203
4. 비지정 식민유산 조사 목록 244

Ⅳ. 국내외 식민유산 활용사례
1. 국내 사례 300
 1) 식민지 유산 건조물 활용 300
  (1) 서대문형무소역사관 300
  (2)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302
  (3) 선린인터넷고등학교 강당 304
  (4) 미당 서정주의 집 306
  (5) 식민지시기 관사 활용 309
   1 한양도성 혜화동 전시 안내센터(구 서울시장 관사) 309
   2 충북문화관(구 충북도지사 관사) 311
 2) 일제 식민통치 잔재물 활용 312
  (1) 광주광역시 광주공원 내 광주신사 계단 312
  (2) 광주광역시 송정신사 314
  (3) 광주광역시 화정동 지하동굴 1~3 316
 3) 친일인물 행적 설명문 설치 320
  (1) 인천광역시 박제순 친일행적 설명문 320
  (2) 광주광역시 김용주 친일행적 설명문 322
  (3) 광주공원 내 윤옹렬, 이근호, 황난유 친일행적 설명문 324
  (4) 충청남도 당진시 인태식·홍난유 선정비 앞 친일행적 안내판 327
 4) 식민지 잔존유산의 활용 329
2. 국외 사례 330
 1) 기념관 활용 330
  (1) 중국 난징대학살기념관 330
  (2) 싱가포르 실로소 요새(Fort Siloso) 332
 2) 식민도시의 유산 활용 334
  (1) 베트남 호치민시 식민지 유산들 334
   1 노트르담 대성당 336
   2 사이공 중앙우체국 336
   3 컨티넨탈 호텔 337
   4 사이공 오페라하우스 337
   5 호치민시 인민위원회 청사(사이공 시청) 338
   6 호치민 시립미술관 339
   7 호치민(사이공) 동물원 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