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공동조사용역 :1-1권역 : 최종보고서 .2023년-[1]

서울특별시 안전총괄실 도로관리과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기술용역보고서
단체저자명서울특별시.안전총괄실.도로관리과;
셀파이엔씨주식회사;
서명/저자사항공동조사용역 :1-1권역 :최종보고서.서울특별시 안전총괄실 도로관리과 [편].
발행사항서울:서울특별시 안전총괄실 도로관리과,2023
형태사항xix, 250 p. :천연색삽화, 지도, 도표;30 cm
부분표제판권기표제:2023년 공동조사 용역(1-1권역) 최종보고서
일반주기 용역기관: 셀파이엔씨주식회사
임의권차부여
서지주기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공동조사,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22918 S 534.8 2019-2 v2023-1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22918
청구기호
S 534.8 2019-2 v2023-1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공동조사용역 :1-1권역 : 최종보고서 .2023년-[1]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2023년 공동조사용역(1-1권역) 최종보고서

목 차

표 목차

그림 목차

Ⅰ. 사 업 개 요
1. 사업내용 27
 1.1 사업명 27
 1.2 사업목적 27
 1.3 사업내용 27
 1.4 사업공정 27
 1.5 사업범위 28
  1.5.1 사업내용의 범위 28
  1.5.2 사업의 위치 및 수량 29
 1.6 사업수행 조직 31
2. 사업의 배경 및 수행 추진방향 32
 2.1 사업배경 32
 2.2 사업수행 추진 방향 33
 2.3 사업 추진목 34
  2.3.1 공동발견 목 34
  2.3.2 공동발견 기 34
 2.4 성과품 납 34
3. 공동(空洞)조사 관련규 35
 3.1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 35
  3.1.1 지하 시설물 및 주변 지반의 안전관 35

Ⅱ. 공동조사 방법
1. 공동조사 개요 및 장비 39
 1.1 GPR 탐사 개요 및 원리 39
  1.1.1 GPR 탐사 개요 39
  1.1.2 GPR 탐사 원리 40
 1.2 GPR 탐사 장비 42
  1.2.1 국내 GPR 탐사 장비현황 42
  1.2.2 GPR 탐사 원리 43
 1.3 본 과업 투입 장비 44
  1.3.1 차량형 3D GPR 탐사장비 44
  1.3.2 핸드형 3D GPR 탐사장비 48
  1.3.3 자료취득 및 분석 프로그램 49
  1.3.4 2차 조사 장비 및 프로그램 50
2. 공동조사 수행계획 54
 2.1 공동조사 수행 단계별 주요 고려사항 54
 2.2 사업수행 계획 55
3. 사전조사 56
 3.1 사전조사 내용 56
  3.1.1 관련자료 수집 56
  3.1.2 교통 특성 파악 56
4. 1차 탐사 및 분석 57
 4.1 1차 탐사 장비운용 58
  4.1.1 차도부 3D GPR 탐사 58
  4.1.2 보도부 및 가각부 3D GPR 탐사 58
  4.1.3 굴착공사장 주변 3D GPR 탐사 59
 4.2 자료처리 및 분석 60
  4.2.1 자료처리 60
  4.2.2 자료분석 61
  4.2.3 공동판정 63
 4.3 분석공동조사서 작성 64
5. 2차 조사 및 확인 65
 5.1 2차 조사 장비운용 66
  5.1.1 2차 조사 사전준비 66
 5.2 교통 및 안전관리 대책 68
  5.2.1 교통 및 안전관리 수립 68
  5.2.2 공정별 교통 및 안전관리 대책 69
 5.3 공동조사서 및 공동 신속복구 결과 조사서 작성 71
  5.3.1 공동조사서 작성 71
  5.3.2 공동신속복구 결과 조사서 작성 72
6. 공동등급 분류 73
 6.1 지반침하 관련 용어 정의 73
  6.1.1 용어의 정의 73
  6.1.2 공동발생 유형 73
 6.2 공동등급 분류방법 및 적용 74
  6.2.1 공동등급 분류방법 74
7. 공동조사 목표 수량 74

Ⅲ. 조사결과
1. 공동조사 결과 요약 77
 1.1 자치구별 공동조사 결과 요약 77
 1.2 노선별 공동조사 결과 요약 81
 1.3 굴착공사장 주변 공동조사 결과 요약 84
2. 사전조사 85
 2.1 조사구간 현황 85
  2.1.1 본 노선 조사구간 현황 85
  2.1.2 굴착공사장 주변 조사구간 현황 88
 2.2 사업구간 교통현황 89
3. 본 노선 자치구별 공동조사 결과 91
 3.1 본 노선 자치구별 1차 탐사 및 분석 결과 91
 3.2 본 노선 자치구별 2차 조사 및 확인 결과 92
  3.2.1 본 노선 자치구별 2차 조사 현황 92
  3.2.2 본 노선 자치구별 2차 조사 결과 96
4. 본 노선 노선별 공동조사 결과 118
 4.1 본 노선 노선별 1차 탐사 및 분석 결과 118
 4.2 본 노선 노선별 2차 조사 및 확인 결과 121
  4.2.1 본 노선 노선별 2차 조사 현황 121
  4.2.2 본 노선 노선별 2차 조사 결과 124
5. 굴착공사장 주변 공동조사 결과 157
 5.1 굴착공사장 주변 1차 탐사 및 분석 결과 157
 5.2 굴착공사장 주변 2차 조사 및 확인 결과 159
  5.2.1 굴착공사장 주변 2차 조사 현황 159
  5.2.2 굴착공사장 주변 2차 조사 결과 160
6. 공동 신속복구 결과 161
 6.1 공동 신속복구 수행현황 162
  6.1.1 본 노선 공동 신속복구 현황 162
  6.1.2 굴착공사장 공동 신속복구 현황 165
 6.2 공동 신속복구 결과 166
  6.2.1 본 노선 공동 신속복구 결과 166
  6.2.2 굴착공사장 주변 공동 신속복구 결과 186

Ⅳ. 성과분석
1. 공동조사 결과분석 189
 1.1 발견공동 현황 189
 1.2 공동등급 분포 및 공동발생율 분석 190
  1.2.1 본 노선 발견공동 현황(차도부) 191
  1.2.2 본 노선 발견공동 현황(보도부) 193
  1.2.3 굴착공사장 주변 발견공동 현황 195
 1.3 발견공동 상세분석 196
  1.3.1 종로구, 중구 199
  1.3.2 양천구 202
  1.3.3 강서구 205
  1.3.4 구로구 208
  1.3.5 금천구 210
  1.3.6 영등포구 211
  1.3.7 동작구 215
  1.3.8 관악구 218
  1.3.9 서초구 222
  1.3.10 강남구 227
  1.3.11 송파구 232
  1.3.12 강동구 237
  1.3.13 굴착공사장 주변 241
 1.4 공동 미발견 현황 244
  1.4.1 미공동 원인분석 244
  1.4.2 미공동 GPR신호 분석 245
 1.5 공동 발생 취약구간 조사결과 분석 248
  1.5.1 공동 발생 취약구간 현황 248
  1.5.2 공동 발생 취약구간 공동조사 결과 249
  1.5.3 공동 발생 취약구간 상세분석 250
2. 공동 신속복구 결과분석 262
 2.1 공동 신속복구 현황 262
 2.2 공동 신속복구 결과 264
  2.2.1 본 노선 공동 신속복구 결과 264
  2.2.2 굴착공사장 주변 공동 신속복구 결과 265
3. 공동의 특성 분석 266
 3.1 포장체 및 토피 두께 분석 266
  3.1.1 본 노선 차도부 포장체 및 토피 두께 현황 266
  3.1.2 본 노선 보도부 포장체 및 토피 두께 현황 267
  3.1.3 굴착공사장 주변 포장체 및 토피 두께 현황 268
 3.2 공동 규모 분석 269
  3.2.1 본 노선 차도부 공동 규모 현황 269
  3.2.2 본 노선 보도부 공동 규모 현황 270
  3.2.3 굴착공사장 주변 공동 규모 현황 271
 3.3 발견공동 파형 분석 272
  3.3.1 발견공동 형태별 파형분석 272
  3.3.2 형태별 공동 대표단면 273
4. 공동발생 원인분석 277
 4.1 지하철 통과구간 및 역사별 지하수유출량 상관성 분석 277
  4.1.1 지하철 통과구간 상관성 분석 277
  4.1.2 지하철 역사별 지하수유출량 분석 278
 4.2 공동 인접 지하매설물 상관성 분석 280
5. 결론 281
 5.1 사업개요 281
 5.2 공동조사 결과분석 282
 5.3 공동 신속복구 결과분석 282
 5.4 공동의 특성 분석 282
 5.5 공동발생 원인분석 283

[ 부 록 ] 1.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