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서관 (Seoul Metropolitan Library)

서울도서관 로고

나의공간

상세정보

공유하기

표지이미지

봉천천복개 정밀안전점검 및 실태조사 용역 :정밀안전점검 보고서

서울특별시 남부도로사업소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기술용역보고서
단체저자명서울특별시.남부도로사업소;
삼림엔지니어링용역기관;
한맥기술용역기관;
서명/저자사항봉천천복개 정밀안전점검 및 실태조사 용역:정밀안전점검 보고서 /서울특별시 남부도로사업소 [편].
발행사항서울:서울특별시 남부도로사업소,2023
형태사항310 p. :삽화,설계도,도표;30 cm
비통제주제어봉천천복개,정밀안전진단,안전진단,시설물안전,시설물 유지관리,도로안전,

서가에 없는 도서 설명 바로가기

소장정보 목록-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예약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서가에 없는 도서
1 SG0000123137 S 534.8 2024-1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확인요청   ▶

서울자료실(3층) 열람가능(대출불가)

No.
1
등록번호
SG0000123137
청구기호
S 534.8 2024-1
반납예정일
출력
예약/신청
신청불가
서가에 없는 도서
확인요청   ▶
예약/신청 안내
도서상태가 대출중 도서의 경우 예약 가능하며 보존서고 도서의 경우 도서상태가 신청가능 일 경우에 신청 가능
부득이하게 취소해야 할 경우는 [홈페이지>나의공간>내서재>신청]에서 취소 가능합니다.
※미대출로 인한 자동취소 3회 발생 시 30일간 도서 예약 불가
보존서고 이용안내
소장처가 보존서고1, 보존서고3이고 도서상태가 신청가능일 경우, 예약/신청의 신청하기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상세안내 클릭)
※ 일반자료실은 평일 18시, 주말 16시까지, 서울자료실과 세계자료실은 평일, 주말 16시까지 신청자료에 한해 이용가능합니다.
※ 보존서고3 자료 중 일부(등록번호가 SG로 시작하는 자료, 참고도서)는 대출이 불가하며, 방문하셔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책보고 이용안내
한상진, 김태동, 임현진 자료는 서울책보고(서울 송파구 오금로1)에서 열람가능합니다.
원문 이용안내
서울도서관에서 DB구축한 서울시 발간자료 원문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및 일부출력만 가능합니다. 원문 파일 제공 문의는 발간자료의 발행처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봉천천복개 정밀안전점검 및 실태조사 용역 :정밀안전점검 보고서 

웹뷰어 PC뷰어

목차 전체

1
봉천천복개 정밀안전점검 및 실태조사 용역 :정밀안전점검 보고서

제출문

정밀안전점검 결과표

정밀안전점검 실시결과 요약표

봉천천복개 현황표

참여기술진 명단

시설물의 위치도 및 전경

요약문

목차

제1장 정밀안전점검 개요
1.1 과업의 목적 78
1.2 시설물의 개요 78
 1.2.1 시설물 개요 78
1.3 시설물의 위치도 및 전경 79
1.4 점검의 범위 및 과업내용 108
 1.4.1 대상시설물의 실시 범위 108
 1.4.2 점검의 범위 109
 1.4.3 점검의 내용 109
1.5 사용장비 및 시험기기 현황 110
1.6 과업 수행일정 112
 1.6.1 과업수행 흐름도 112
 1.6.2 과업기간 113
 1.6.3 과업수행 일정 113
1.7 기호의 정의 114
1.8 과업의 적용기준 115

제2장 자료수집 및 분석
2.1 개요 118
2.2 기존 점검 및 진단 실시결과 요약 119
 2.2.1 점검 및 진단이력 119
 2.2.2 정밀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결과 128
2.3 보수·보강 이력 137
2.4 시설물의 내진설계 여부 확인 142
2.5 지반조사 보고서(봉천교) 144
2.6 설계활하중 확인(라멘/박스구간) 150
2.7 봉천천 하천 현황 151
2.8 유지관리 관련 자료 분석결과 152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3.1 개요 156
 3.1.1 복개구조물 점검 및 방법 159
 3.1.2 복개구조물 일반적인 부재별 조사방향 160
 3.1.3 복개구조물의 일반적인 손상형태 161
3.2 현장조사 결과 164
 3.2.1 라멘구간 165
 3.2.2 BOX구간(6련) 173
 3.2.3 BOX구간(4련) 196
 3.2.4 상부 포장 206
 3.2.5 상부 신축이음 214
 3.2.6 상부 배수시설 232
 3.2.7 봉천교(횡단교량) 234
 3.2.8 은천교(횡단교량) 243
 3.2.9 상봉교(횡단교량) 252
 3.2.10 남부순환횡단교(횡단교량) 258
 3.2.11 공중이 이용하는 부위 263
3.3 시험 및 측정 268
 3.3.1 개요 268
 3.3.2 콘크리트 재료시험 273

제4장 시설물의 상태평가
4.1 개요 284
4.2 상태평가 기준 284
 4.2.1 상태평가 항목 284
 4.2.2 부재에 따른 교량의 상태평가 기준(라멘구간, 횡단교량) 285
 4.2.3 부재에 따른 터널의 상태평가 기준 292
 4.2.4 상태평가 결과 산정 방법 301
4.3 상태평가 결과 산정 303
 4.3.1 상태평가 결함지수 및 등급산정 303
 4.3.2 전체 상태평가 결과 317
 4.3.3 결과분석 317

제5장 종합평가 및 안전등급 지정
5.1 종합평가 320
 5.1.1 개요 320
 5.1.2 종합평가 흐름도 320
 5.1.3 종합평가 결과 산정 321
5.2 안전등급 지정 321
 5.2.1 개요 321
 5.2.2 안전등급에 따른 시설물의 상태 321
 5.2.3 안전등급 지정 322
 5.2.4 기 점검 결과와 비교 322

제6장 보수·보강 및 유지관리방안
6.1 개요 326
6.2 보수·보강 설계 327
 6.2.1 보수·보강설계의 기본적인 흐름도 327
 6.2.2 구조물의 열화 및 성능의 평가 327
6.3 보수범위의 선정 328
6.4 보수·보강 우선순위 328
6.5 보수·보강 방안 및 우선순위 329
6.6 보수·보강 공법 341
 6.6.1 주입보수공법 341
 6.6.2 표면처리 공법 359
 6.6.3 단면보수(복구)공법 364
 6.6.4 유도배수공법 372
 6.6.5 바닥슬래브 침식구간 보수방안 373
 6.6.6 Box 내부 신축이음 물끊기 설치 375
 6.6.7 포장부 보수공법 376
 6.6.8 매립형 조인트 설치 386
6.7 보수·보강 개략공사비 391
6.8 유지관리 방안 408
 6.8.1 개요 408
 6.8.2 점검계획 408
 6.8.3 관리자료 보존 408
 6.8.4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409
 6.8.5 중점 유지관리사항 412

제7장 종합결론